幽山憶君 (유산억군)
轉角山巖靜寺孤(전각산암정사고)
산모퉁이 돌아 조용한 절집 홀로 있는데,
何須險谷枉尋愚(하수험곡왕심우)
어찌하여 험한 골짜기마다 헛되이 어리석음을 찾아 헤매는가?
秋蟲泣響溪星落(추충읍향계성락)
가을 벌레 울음이 계곡에 메아리치고 별빛이 내려앉으니,
寸寸愁懷赴月途(촌촌수회부월도)
그리운 마음 조각조각 달빛 길을 따라 나아가네.
虞(염려할 우) 운목으로 孤, 愚, 途를 운으로 하는 칠언절구 측기식 한시입니다.
作: 雲湖 李進浩
한시 설명
이 시는 깊은 산속에서 임을 그리워하며 느끼는 고독과 방황의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첫 구절에서는 산모퉁이를 돌며 홀로 있는 조용한 암자를 묘사하여 시적 배경을 형성합니다. 두 번째 구절에서는 험난한 골짜기마다 어리석음을 찾으며 방황하는 모습을 통해, 그리움 속에서 길을 잃고 방황하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세 번째 구절에서는 가을밤의 고요한 계곡 속에서 벌레 소리와 별빛이 어우러진 풍경을 그려내어, 청각적·시각적 이미지를 동시에 전달합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그리운 마음이 달빛을 따라 임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시적으로 표현하여, 정서적 마무리를 짓고 있습니다.
형식 설명
이 한시는 7언절구(七言絶句) 측기식(仄起式)의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각 구절은 7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각 구의 평성(平聲)과 측성(仄聲)을 나누어 보면:
轉角山巖靜寺孤 (仄仄平平仄仄平)
何須險谷枉尋愚 (平平仄仄仄平平)
秋蟲泣響溪星落 (平平仄仄平平仄)
寸寸愁懷赴月途 (仄仄平平仄仄平)
이를 통해 시 전체의 평측(平仄) 패턴이 정확하게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기식 절구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운율과 의미가 조화롭게 맞추어졌습니다.
4. 시평
이 시는 깊은 산속에서 임을 그리워하며 느끼는 그리움과 고독, 그리고 헛되이 방황하는 마음을 효과적으로 묘사한 작품입니다. 첫 구절에서는 고요한 절집이 산모퉁이 뒤에 숨어 있는 모습을 표현하여, 사색적인 배경을 만들어 줍니다. 두 번째 구절에서는 험난한 골짜기마다 어리석음을 찾는 모습을 통해, 임을 향한 그리움이 커져서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어리석게 방황하는 심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세 번째 구절에서는 가을밤의 고요한 자연을 청각적(벌레 울음)과 시각적(별빛) 이미지로 잘 묘사하여, 감상자가 그 고요한 정취를 직접 느낄 수 있게 합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그리운 마음이 달빛 길을 따라 나아가는 모습을 통해, 임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何須險谷枉尋愚'라는 구절은 그리움을 찾아 방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헛됨과 허무함을 강조하면서, 방황하는 마음의 갈등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마지막 구절의 '寸寸愁懷赴月途'는 그리운 마음이 조각조각 나서도 결국 임을 향해 나아가려는 애절한 감정을 잘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시적 배경, 정서, 운율이 모두 조화롭게 어우러진 작품으로, 그리움과 고독의 정서를 깊이 있게 전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