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호의 '매일 한시-17( 2024.9.26)': ] 칠언절구, 秋楓 (추풍, 가을 단풍)
본문 바로가기
운호 이진호

운호의 '매일 한시-17( 2024.9.26)': ] 칠언절구, 秋楓 (추풍, 가을 단풍)

by 동방대 12기 작품 2024. 9. 29.

題: 秋楓 (추풍, 가을 단풍)

飄山霧重(적엽표산무중심)

붉은 단풍잎이 산 위에서 흩날리고,

垂霞側影映江(수하측영영강림)

드리운 노을은 기울어 그 그림자가 강가의 숲에 비친다.

風來寂瑟秋聲起(풍래적슬추성기)

바람이 불어오니 고요하고 쓸쓸한 가을 소리가 일고,

冷露寒煙染古(냉로한연염고심)

찬 이슬과 서늘한 연기가 고요한 옛 마음을 물들인다.

 

侵(침노할 침) 운목으로 深, 林, 心를 운으로 하는 칠언절구 측기식 한시입니다.

作: 雲湖 李進浩

한시를 표현하는 그림
created with DALL.E

한시 설명

이 시는 가을의 깊고 고요한 정취와 단풍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첫 구절에서는 붉게 물든 단풍잎이 산 위에서 흩날리며 안개가 자욱하게 내려앉은 풍경을 그려내고, 두 번째 구절에서는 기울어진 석양의 그림자가 강가의 숲에 비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세 번째 구절에서는 바람에 일어나는 쓸쓸한 가을의 소리를, 마지막 구절에서는 차가운 이슬과 연기가 옛 감정을 서서히 물들여 가는 모습을 나타내어, 가을의 쓸쓸하면서도 정적인 분위기를 잘 담아냈습니다.

 

 

형식 설명

이 한시는 7언절구(七言絶句) 측기식(仄起式)의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각 구절은 7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기식의 기본 구조인 平平仄仄平平仄 형태를 유지합니다. 또한 각 구의 끝 글자가 '仄平仄仄'으로 이어지면서 리듬감과 운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평기식 절구에서는 1구의 첫 번째 글자가 평성으로 시작하고, 3구의 첫 번째 글자가 평성이므로 평성-측성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각 구의 평성(平聲)과 측성(仄聲)을 나누어 보면:

赤葉飄山霧重深 (仄仄平平仄仄平)

垂霞側影映江林 (平平仄仄仄平平)

風來寂瑟秋聲起 (平平仄仄平平仄)

冷露寒煙染古心 (仄仄平平仄仄平)

이를 통해 시 전체의 평측(平仄) 패턴이 정확하게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평

이 시는 가을의 고요하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정교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첫 구에서는 단풍잎의 붉은 빛깔과 산속 안개의 무거운 느낌을 대조적으로 묘사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강렬하게 전달합니다. 두 번째 구에서는 기울어진 노을의 그림자가 비치는 장면을 통해 자연 속에서 시간이 천천히 흘러가는 모습을 표현하였습니다. 세 번째 구와 네 번째 구에서는 가을바람과 찬 이슬을 통해 청각과 촉각적 이미지를 더하며, 고독한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寂瑟(적슬)'이라는 표현은 바람에 흔들리는 고요함과 쓸쓸함을 동시에 담아내어 시 전체의 정취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마지막 구절의 '古心(고심)'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고요한 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정서가 찬 이슬과 서늘한 연기에 물들어가는 과정을 그려냄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깊은 사색을 유도합니다.

전체적으로 가을 단풍의 시각적 아름다움과 계절의 쓸쓸함을 절묘하게 결합한 수작으로, 한시의 형식적 완성도와 정서적 울림을 모두 충족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