歲暮思
歲暮回思舊江湖(세모회사구강호)
銀絲漸滿事無符(은세점만사무부)
茫茫世情猶難悟(망망세정유난오)
敎子何言守室模(교자하헌수실모)
虞(염려할 우) 운목의 湖, 符, 模를 운으로 하는 칠언절구 측기식 한시입니다.
作: 雲湖 李進浩
한시 해석
- 歲暮回思舊江湖
- 한 해의 끝자락에서 과거의 강호와 추억을 떠올립니다.
- 歲暮(세모): 한 해의 마지막, 시간의 흐름을 나타냄.
- 舊江湖(구강호): 과거의 삶의 경험과 기억을 상징.
- 銀絲漸滿事無符
- 은빛 머리카락은 점점 늘어가지만, 이루어진 것은 아무것도 없음을 느낍니다.
- 銀絲(은사): 흰 머리카락으로 나이 듦과 세월의 흔적을 나타냄.
- 漸滿(점만): 점점 가득 차다, 시간의 축적을 의미.
- 事無符(사무부): 성취하지 못한 회한을 표현.
- 茫茫世情猶難悟
- 복잡하고 아득한 세상 속에서 여전히 깨달음을 얻기 어렵습니다.
- 茫茫(망망): 끝없이 펼쳐진 세상의 복잡함과 혼란.
- 世情(세정): 세상의 일들과 감정.
- 猶難悟(유난오): 깨달음을 얻기 어려움을 나타냄.
- 敎子何言守室模
- 자식들에게 어떤 말을 해야 가문의 본보기를 지킬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
- 敎子(교자): 자식에게 가르침을 주는 것.
- 守室模(수실모): 집안의 틀과 본보기를 지키는 것.
해석과 의의
- 敎子何言守室模:
- 模(모)는 본보기, 틀을 뜻하며, 가문이나 가정에서 지켜야 할 전통과 이상을 상징합니다.
- 부모로서 자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가문의 전통을 유지하고, 올바른 가치를 전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부모의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 한시의 주제:
- 한 해의 끝에서 과거를 돌아보고, 이루지 못한 아쉬움과 세상사의 복잡함을 반추합니다.
- 부모로서의 책임감과 가문을 이어가야 할 사명감을 진지하게 성찰합니다.
감상
이 한시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인생의 회한과 부모로서의 고민을 진솔하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특히 模(모)를 사용함으로써 가문의 전통과 틀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식들에게 어떤 가르침을 전해야 할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담아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