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호의 '매일 한시-2( 2024.9.11)': 가을밤의 도토리와 한시: 자연 속에서 마주한 내면의 성찰
본문 바로가기
운호 이진호

운호의 '매일 한시-2( 2024.9.11)': 가을밤의 도토리와 한시: 자연 속에서 마주한 내면의 성찰

by 동방대 12기 작품 2024. 9. 11.

저녁을 먹으며 반주로 마신 두어 잔의 막걸리가 나를 담배로 이끌었다. 아파트 현관문을 나서 다른 이들의 눈치 볼 필요 없는 조용한 곳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주민들 발길이 드문, 그 어두운 밤, 무심코 걸음을 옮기고 있던 중 투둑 하고 도토리가 발밑으로 떨어졌다. 저녁 어슴프레한 고요 속에서 떨어진 도토리를 바라보며, 여러 생각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이 작은 순간, 고요한 가을 밤의 한 장면, 그리고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른 감정들을 시로 표현해 보았다.

가을 저녁에 툭하고 떨어지 도토리
가을 저녁 도토리, created by DALLI.E

 

 

落橡幽思 (낙상유사)

臨深道(모상림심도)

微風拂葉(미풍불엽지)

何來隨我步( 하래수아보)

感念入心( 감념입심지)

 

저녁의 도토리가 가을 깊은 걸음에 떨어지고,

부드러운 바람이 느릿하게 잎을 스친다.

어찌 나의 발걸음을 따라왔는가?

스며드는 이 감회는 어찌할꼬.

 

 

한시의 형식과 운목 설명

이 한시는 오언절구 측기식(五言絶句 仄起式)으로, 도토리 橡이 仄聲(측성)이라는 점에 따라 형식이 결정되었습니다. 한시의 형식은 평성(平聲)과 측성(仄聲)의 배열에 따라 평기식(平起式)과 측기식(仄起式)으로 나뉘는데, 이 시는 첫 구의 두 번째 글자가 측정이므로 측기식에 속합니다.

또한, 이 한시는 支(지탱할지)를 운목으로 사용한 시로, 운자는 遲(지체할지)와 知(알지)입니다. 오언절구는 두 번째와 네 번째 구절에서 운을 맞추며, 이 시에서 2구와 4구의 끝에 운자 遲와 知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시의 리듬과 운율이 더욱 풍부해지고, 감정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자연과 마주한 순간의 성찰

가을밤의 도토리, 바람에 느릿하게 스치는 잎사귀, 그리고 그 속에서 나의 발걸음을 따라온 듯한 도토리. 이러한 순간은 자연과 나의 내면을 연결시키는 매개체였다. 첫 구절인 暮橡臨深道는 저녁 무렵, 도토리가 떨어져 길가에 임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깊은 길이라는 표현은 마치 나의 생각이 점점 깊어지는 것을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이 길은 단순한 길이 아닌, 나의 내면으로 이어지는 여정이다.

 

 

風拂葉遲, 즉 부드러운 바람이 잎을 느릿하게 스치는 모습은 그 순간의 고요함과 평화를 더욱 강조한다. 자연의 섬세한 움직임 속에서 우리는 평소 느끼지 못했던 감정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도토리의 낙하가 어찌 나의 발걸음을 따라왔는지를 묻는 何來隨我步는 도토리의 우연한 움직임을 통한 인생의 불가피한 흐름에 대한 성찰로 이어진다.

 

 

마지막 구절인 感念入心知는 그 순간 느껴지는 회한과 깨달음을 내면 깊이 받아들이는 장면을 담고 있다. 도토리가 떨어진 사건은 단순한 자연의 일이 아니라, 마음속에 스며드는 깊은 감정과 생각으로 변모한다. 그것이 바로 감정의 중심에서 '삶'의 깨달음으로 이어진다.

 

 

자연 속에서 발견한 나의 모습

밤길을 걷다 우연히 마주친 도토리와의 만남은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었다. 이 작은 사건은 나에게 더 큰 내면의 성찰로 다가왔다. 우연처럼 느껴졌던 도토리의 낙하는 사실 그 순간을 깨닫게 만드는 매개체였다. 자연 속에서 마주한 이 순간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때로는 그 자체로도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간과하는 소소한 장면들이 내면의 깊은 곳을 일깨우고, 감정과 깨달음을 불러일으킨다.

운자와 운율의 역할

이 시의 운목 支는 시에 일관된 리듬을 부여하며, 각 구절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遲와 知는 시를 읽는 이에게 부드러운 운율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운율적 요소들은 시를 더욱 음악적으로 들리게 하며, 자연의 고요함 속에서 시인의 깊은 생각과 감정을 더욱 잘 드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오언절구는 짧지만 강렬한 감정과 생각을 담아내는 형식으로, 운자와 운율의 적절한 사용이 시의 완성도를 높여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