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필수요소 한자의 운목(韻目) 검색을 손쉽게 도와 드립니다. 운목 검색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시 필수요소 한자의 운목(韻目) 검색을 손쉽게 도와 드립니다. 운목 검색기

by 동방대 12기 작품 2024. 8. 14.

평수운 [ 平水韻 ]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한자, 운목 검색기로 이동합니다.

 

https://script.google.com/macros/s/AKfycbwyESqHGp950ZwEyH6uOAOOwN8TWdfVy2txFEJp94ss4-TN_X2hrL23LXSxH_GMLKe3/exec

 

script.google.com

 

중국의 운서(韻書)

 

https://script.google.com/macros/s/AKfycbwyESqHGp950ZwEyH6uOAOOwN8TWdfVy2txFEJp94ss4-TN_X2hrL23LXSxH_GMLKe3/exec

 

script.google.com

 

《임자예부운략(壬子禮部韻略)》의 속칭이다. 평수운이 나오기 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그것의 시작은 7세기 초 육법언 등에 의해 출간된 《절운》이었는데 이는 193개의 운이었다. 그후 송나라 때 진팽년이 지은 《광운(廣韻)》은 이를 206운으로 나누어 놓았으며 뒤이어 이을 간략화한 《예부운략》이 나오게 된다. 다시 금(金) 시대에 평수(平水)의 왕문욱(王文郁)이 그것을 정리하여 106운으로 된 《평수신간운략》을 편찬한다.

 

 

후에 남송의 유연(劉淵)은 이를 계승하여 107운으로 된 《임자예부운략(壬子禮部韻略)》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하였고 이것이 오늘날 전하는 평수운이다. 평수운이란 명칭의 유래에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유연의 출신지인 평수의 지명을 땄다는 것과 당시 서적을 관행하던 관청이 있던 지역인 평수에서 따왔다는 설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원나라의 음시부가 《운부군옥》에서 《임자예부운략》의 107운을 106운으로 개편하였고 이것이 후일 시운(詩韻)의 모범이 되었는데 이것도 평수운이라고 한다. 유연의 원서는 전하지 않는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평수운 [平水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