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호의 '매일 한시-24( 2024.10.3)': ] 칠언절구, 開天頌 (개천송)
開天頌 (개천송)
桓雄降世立千秋(환웅강세입천추)
환웅께서 세상에 내려와 천년의 역사를 세우고,
白岳祥光耀九州(백악상광요구주)
백악산의 상서로운 빛이 온 나라를 환히 비추도다.
嶽谷正基昭祖德(악곡정기소조덕)
산과 골짜기에 질서를 세워 조상의 덕을 빛내니,
民恩浩蕩萬川流(민은호탕만천류)
백성들의 은혜가 크고 넓어 만 개의 강처럼 흘러가네.
尤(더욱 우) 운목의 秋, 州, 流를 운으로 하는 칠언절구 평기식 한시입니다.
구조 설명
1, 2, 4구의 마지막 글자는 '流(흐를 류)' 운목의 글자들로 구성하였습니다. 각 구절마다 개천절의 역사적 의미와 민족의 뿌리, 정신을 강조하였습니다.
1행 (桓雄降世立千秋):
'桓雄(환웅)'은 하늘에서 내려와 세상에 인간의 역사를 세우신 환웅을 상징하며, '立千秋(입천추)'는 천 년의 역사를 세웠다는 의미로 우리 민족의 시작을 찬양하였습니다.
기존 '建(건)'을 '立(입)'으로 수정하여, '立(입)'은 세우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중복되는 글자를 피하면서 시의 의미를 유지합니다.
2행 (白岳祥光耀九州):
백악산의 상서로운 빛이 온 나라를 비추듯, 환웅의 내려옴이 우리 민족의 번영과 발전을 상징한다는 뜻을 담았습니다.
'白岳(백악)'은 태백산의 또 다른 이름으로, '太白(태백)'과 같은 의미를 가지면서 중복되는 글자를 피하였습니다.
3행 (嶽谷正基昭祖德):
'嶽谷(악곡)'은 '산과 골짜기'를 의미하며, '乾地(건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대체하였습니다.
'正基(정기)'는 '올바른 기틀'을 의미하며, 기존의 '奠基(전기)'의 중복을 피한 표현입니다.
'昭祖德(소조덕)'은 '조상의 덕을 빛내다'의 의미로, 새로운 글자를 사용하여 시의 뜻을 살렸습니다.
4행 (民恩浩蕩萬川流):
백성들의 은혜가 넓고 커서, 그 정신과 가르침이 만천의 강처럼 만세토록 흘러가리라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기존의 '萬世(만세)'를 '萬川(만천)'으로 바꾸어, 중복되는 글자 없이 자연스럽게 수정하였습니다.
시평
이 시는 개천절을 기념하며, 우리 민족의 시작과 그 뿌리를 세운 환웅과 단군의 뜻을 되새기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행에서는 환웅의 강세와 천년의 역사를 강조하며, 2행에서는 백악산의 상징성을 통해 민족의 번영을 기원하였습니다.
3행에서는 산과 골짜기에 질서를 세워 조상의 덕을 빛낸다는 의미를 나타내었으며, 마지막 4행에서는 백성들의 덕과 은혜가 만천의 강처럼 흘러가 후대에 길이 전해지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였습니다.
각 행의 마지막 글자를 '流(류)' 운목의 글자들로 통일하여 한시의 운율을 조화롭게 유지하였으며, 의미의 일관성을 지키면서도 중복 글자 없이 구성하였습니다. 이 한시가 개천절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되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